건강 다이어리

Home>同 WITH>건강 다이어리
추간판 탈출증이란?
요추 추간판 탈출증 알아보기
추간판(디스크)은 젤 성분의 수핵을 섬유조직의 섬유륜이 둘러싸고 있는 구조로,
척추뼈 사이에서 척추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고 척추로 전달되는 충격을 분산하여 완충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추간판이 퇴행성 변화에 의해 탄력을 잃은 상태로 지속적으로 무리하거나 사고로 인하여 과도한 충격을 받게 되면,
섬유륜이 찢어져 안에 있던 수핵이 탈출하여 척추 신경을 물리·화학적으로 자극하게 됩니다.
이를 ‘추간판 탈출증’이라고 하며 90% 이상이 요추에서 발생합니다.

글·근로복지공단 창원병원 정형외과 문정재 진료과장

다리 저림이 흔하고, 요통은 흔치 않아요
추간판 탈출증은 크게 탈출된 수핵에 의해 발생하는 신경근병증과 찢어진 섬유륜을 지배하는 감각신경 자극에 의해 발생하는 요통으로 분류합니다. 환자들이 흔히 이야기하는 증상은 신경근의 압박에 의한 신경근병증에 해당합니다.

•‌허리나 엉덩이에서 통증이 시작하여 다리 아래로 찌릿한 방사통으로 뻗쳐 나갑니다.
•‌정상 측과 비교하여 이상 감각을 느낍니다. 예 : 남의 살 같아요. 자갈 위를 걷는 것 같아요.
•‌악화 시 해당 부위 근육이 빠지고, 근력이 떨어져 다리가 무겁거나 발목이 잘 들리지 않아 걸음걸이가 불편할 수 있습니다.
CT나 MRI를 찍어야 정확히 알 수 있어요
_02 추간판 탈출증이 있는 경우 탈출된 수핵이 신경근을 자극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환자는 허리를 옆으로 구부리면서 허리의 운동을 제한하는 자세를 취합니다. 이외에도 하지 직거상 검사, 근력검사, 감각검사를 시행하고 추간판 탈출증이 의심되면 영상학적 검사를 시행하게 됩니다. 먼저 시행하는 X-ray는 좁아진 추간판 간격과 주위 관절의 골관절염 등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추간판 탈출증을 진단하기는 힘들므로, X-ray로 진단하고 시술(주사)하는 것은 삼가야 합니다. 따라서 전산화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영상(MRI)을 촬영하여 추간판의 탈출 여부 및 주위 조직과의 관계를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영상에서 보이는 모든 병변이 증상을 유발하는 것이 아니므로 환자가 자신의 증상을 명확히 전달해야 정확한 진단이 가능합니다.
3개월 이상의 보존적 치료가 우선이에요
_03 우선 단기간 동안 안정과 휴식을 취하면서 진통제와 소염제를 복용하고 물리치료를 시행하는 것만으로도 80~90%가량 증상 호전을 보입니다. 10%가량만 주사요법을 통한 중제술이 필요합니다. 최근 신경성형술과 같은 여러 가지 중제술들이 있어 충분한 상담과 진찰을 통해 신중하게 치료 방법을 결정해야 합니다.
3회의 시술에도 효과가 없으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수술은 반드시 3~6개월가량의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 후 호전이 없을 때 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그러나 근력의 감소가 뚜렷하거나 점점 심해지는 경우, 배뇨·배변 기능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는 초기부터 수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최근에는 최소 절개를 한 후 내시경, 미세현미경, 레이저를 이용하여 탈출된 추간판 절제술이나 후궁 절제술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시술 전에 시술의 올바른 적응 및 장단점을 반드시 확인하여야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