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른 발견으로 수술해야 예후가 좋은 망막박리

눈으로 받아들인 이미지를 뇌로 전달하는 시신경이 있는 망막은 투명하고 얇은 조직으로, 안구 내벽으로부터 망막이 떨어지거나 들뜨는 것을 ‘망막박리’라고 말합니다. 망막이 제 위치에서 떨어지는 원인에 따라 열공성 망막박리, 견인망막박리, 삼출 망막박리로 나눕니다. 그중 가장 흔한 질환은 열공성 망막박리입니다. 망막에 구멍이 생겨 유리체 내 액체가 망막 아래로 유입되어 떨어지는 경우입니다. 이는 갑자기 발생해 실명을 유발할 수 있어, 진단 즉시 최대한 빠르게 수술이 필요합니다. 치료하지 않으면 영구 시력 손실과 안구 위축이 발생합니다. 이밖에 당뇨망막병증, 포도막염, 망막혈관염 등의 염증 반응으로 눈 속에 섬유화된 조직이 자라서 박리가 발생하는 견인 망막박리, 안구 내 염증성 질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삼출액이 망막 아래 고여 발생하는 삼출망막박리가 있습니다.
망막박리가 발생하면 갑자기 부유물이나 날파리와 같은 점들이 떠다니거나 빛이 번쩍이는 광시증, 시야 흐림, 커튼 친 것과 같이 가장자리에서 시작해서 안쪽으로 퍼지는 어두운 시야, 급격한 시력 저하 등이 나타납니다. 박리된 영역이 가장자리에 국한되어 있거나, 시야에서 가장 중요한 황반부가 침범하지 않은 경우, 반대 안이 잘 보여서 미쳐 증상을 인지하지 못하는 일부 사람에게는 증상이 전혀 없다고 느끼기도 합니다.
치료는 이처럼 다양한 원인으로 박리된 망막을 다시 제자리에 붙이는 방식으로 진행합니다. 먼저 박리 범위나 원인 등을 자세하게 알기 위해서 광각안저촬영, 빛간섭단층촬영, 안구초음파 등으로 진단합니다. 이후 박리의 원인, 박리의 범위, 열공의 위치, 환자의 병력, 나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치료 방법을 결정합니다. 한 번 떨어진 망막이 자연스럽게 다시 붙는 경우는 극히 드물기 때문에 대부분 수술이 필요합니다. 주변부 일부만 박리되었다면 레이저 광응고술로 박리가 더 진행되지 않도록 울타리를 만들어주기도 합니다. 대부분은 유리체 절제술, 가스망막유착술, 공막돌륭술 등의 수술로 박리된 망막을 다시 유착합니다.

눈 외상 위험이 있는 활동 시 보호 장비 필수

노화는 망막박리의 대표적인 원인 중 하나입니다. 나이가 들수록 유리체 액화가 일어나 빈 공간이 생기고 유리체의 유동성의 증가로 후유리체박리가 발생하는데, 이는 망막박리의 위험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유전적인 원인도 있어 가족력이 있으면 안과 정기검진이 필요합니다. 최근 근시인구가 늘어나면서 젊은 연령층에서도 망막박리 발생률이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근시는 눈이 앞뒤로 길어지는 축성근시가 대부분이며 눈이 앞뒤로 길어지다 보니 망막이 얇고 약해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망막 열공의 발생이 더 쉽게 일어날 수 있습니다. 눈 주변부의 외상 발생의 위험이 있는 직업군도 망막박리에 취약합니다. 따라서 안구에 직접적인 외상을 유발하는 운동이나 직업 활동 시 안구를 보호할 수 있는 보호구를꼭 착용해야 하며, 갑작스러운 비문증(눈앞에 먼지나 벌레가 떠다니는듯한 현상) 증가, 광시증(눈 감을 때 빛 번쩍거림), 시야가 가려 보이는 증상이 발생하면 반드시 병원을 찾아야 합니다. 특히 범위가 큰 박리가 아니면 반대 안이 잘 보이기 때문에 증상을 모르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광시증이나 비문증 증상이 느껴진다면 한쪽 눈을 가리고 사물을 보면서 시력 저하나 시야 장애가 있는지, 이전과 차이가 있는지 자가진단하는 습관이 도움이 됩니다. 눈을 심하게 비비거나, 지속적으로 비비는 습관이 있다면 안구 안쪽을 채우는 유리체를 자극해 일종의 외상을 눈에 가하는 것으로 망막박리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