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원 인으로 발 생하는 만 성 호 흡기질환

천식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 인자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만성 호흡기질환입니다. 천식 환자의 25~80%는 가족력이 있지만, 여러 유전자가 다양하게 작용해 천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천식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환경 요인에는 집먼지진드기, 꽃가루, 반려동물의 털과 비듬, 곰팡이 등 알레르기 항원이 있습니다. 또 감기를 포함한 다양한 호흡기 감염은 천식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미세먼지와 같은 실외 오염, 환기 부족으로 인한 실내 공기오염은 천식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며, 천식을 악화시키기도 합니다.
천식의 대표적인 증상은 쌕쌕거림(천명), 호흡곤란, 가슴 답답함 그리고 기침입니다. 일반적으로 새벽이나 밤에 반복적이고 발작적인 기침이 나타납니다.
만약 눕거나 말하는 것이 힘들 정도로 숨이 차거나, 불안감이 동반할 정도로 숨이 차며 약을 사용해도 호흡곤란이 나아지지 않는다면 병원을 즉시 방문해야 합니다. 천식 치료의 목표는 증상을 조절하여 일상생활을 정상적으로 유지하고, 천식의 급성 악화와 천식으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꾸준한 치료와 관리가 필수입니다. 천식 치료는 크게 약물치료와 약물 외 관리법으로 나뉘며, 이 중에서도 흡입스테로이드를 중심으로 한 약물치료가 중요합니다.
천식을 효과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질병 조절제를 사용하며, 기도에 생긴 염증을 조절하는 항염증 효과를 보입니다. 대표적으로 흡입스테로이드가 사용되며, 그 외에도 흡입스테로이드/지속적 베타작용제 복합제, 류코트리엔 조절제, 전신스테로이드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증상 완화제로 보조 치료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1분에 100~120번의 속도로 강하게 압박

주변에 사람이 있다면 119에 신고를 요청하세요. 만약 혼자라면 직접 119에 신고하고, 상담원의 지시를 따르기 위해 휴대전화의 스피커를 켜거나 무선 이어폰을 사용해서 두 손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면 좋습니다. 반응 확인과 119에 도움을 요청한 후에는 인공호흡은 하지 않더라도 즉각적으로 가슴압박을 시작해야 합니다. 가슴압박의 위치는 심장정지 환자의 양 젖꼭지를 이은 선의 정가운데보다 2~3cm 아래쪽에 두 손 깍지를 낀 자세로, 1분에 100~120번 정도의 속도로 5cm 정도가 눌릴 수 있게 깊고 강하게 가슴압박을 시행합니다. 손가락이 가슴에 닿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양팔을 쭉 편 상태로 체중을 실어서 환자의 몸과 수직이 되도록 가슴을 압박하고, 압박된 가슴은 완전히 이완되도록 합니다. 만약 주변에 자동심장충격기가 있다면 바로 사용하면 좋습니다. 먼저 자동심장충격기를 심폐소생술에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 놓은 후에 전원 버튼을 누릅니다. 환자의 상의를 벗긴 후에 두 개의 패드를 환자의 가슴에 부착합니다. 자동심장충격기 음성 지시에 따라 심장충격을 시행하고, 심장리듬 분석과 심장충격을 시행할 때에는 환자에게서 손을 뗍니다. 자동심장충격기를 사용한 후 바로 다시 가슴압박을 시작합니다. 119 구급대가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자동심장충격기의 음성지시에 따라 2분에 한 번씩 자동심장충격기 사용과 심폐소생술을 반복합니다. 참고로 현장에서 심장정지 구조자는 주변의 시끄러운 소음에도 자동심장충격기의 음성지시를 정확하게 듣기 위해 10cm 안 쪽으로 귀를 가까이 가져가는 것이 좋습니다.